Python_알고리즘
[Python] 백준 10869 사칙연산
hahihuree
2021. 6. 23. 18:13
문제 바로가기
문제분석
- 두 자연수가 주어질 때, 사칙연산과 나머지를 출력하는 연산을 한다.
- 파이썬의 기본 사칙연산을 이용해 풀이하면 된다.
문제풀이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a-b, a*b, a//b, a%b, sep='\n') # \n은 값을 다음 줄에 출력하게 하는 제어 문자
추가내용
- 파이썬 내장함수 int( )함수는 숫자나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환한다.
# 실수를 정수로 변환
a = int(4.5)
print(a) # 4
b = int(-4.7)
print(b) # -4
c = int(3.0)
print(c) # 3
#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a = int('333')
print(a) # 333
b = int('-333')
print(b) # -333
c = int('333.33')
print(c) # ValueError(Float 형태의 문자열은 변환되지 않고 에러발생)
- 파이썬 내장함수 map(함수, interable자료형)은 여러개의 데이터를 한번에 형변환 가능하게 한다. 두번째 인자로 넘어 온 데이터에 첫번째 인자의 변환함수를 적용하여 형변환 한다.
a = [4.5, -4.7, 3.0, 9.0]
a = list(map(int, a))
print(a) # [4, -4, 3, 9]
- map을 사용할 경우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하지 않고 출력하면 map타입 그대로 출력이 되므로 list( )나 tuple( )등의 함수를 이용해 타입을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 입력값으로 1 2 3 4 5를 넣는다면
number = map(int, input().split())
print(number) # <map object at 0x000001A782378100> 맵 형식 그대로 저장
number = list(map(int, input().split()))
print(number) # [1, 2, 3, 4, 5] 리스트 형식으로 변경되어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