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해99]00사전준비/4주차sparta/웹개발 2021. 6. 4. 15:20
Flask 시작하기
서버만들기
Flask 프레임워크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 모음.
(통상적으로 서버를 돌아가게 하는 파일 이름은 app.py)
localhost:5000 내가 내컴퓨터로 서버 돌리고 있는것.
내가 만든 서버의 5000(port)번 문으로 접속하겠다. 라는 뜻.
HTML파일 주기
Flask 서버를 만들 때, 항상, 프로젝트 폴더 안에
ㄴstatic 폴더 (이미지, css파일을 넣어둡니다)
ㄴtemplates 폴더 (html파일을 넣어둡니다)
ㄴapp.py 파일templates 폴더 HTML 파일을 담아두고 불러오는 역할(flask 내장함수 render_template를 이용)
index.html로 만들어 둔 파일을 app.py에 render_template를 이용해넣으면 서버가 브라우저에게 줌.
※따라서 이제부터는 서버 새로고침!(파이참 내부 크롬 아이콘 클릭은 내컴퓨터에서 파일 여는 것일뿐)
본격 API 만들기
API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받기 위해 만들어 놓은 창구
다양한 API종류들 중 GET, POST를 쓸 예정
GET 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할때 사용.
POST 통상적으로 데이터 변경할때 사용.'sparta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00사전준비/4주차★GET연습 (0) 2021.06.05 [항해99]00사전준비/4주차★POST연습 (0) 2021.06.05 [항해99]00사전준비/3주차 (0) 2021.06.04 [항해99]00사전준비/2주차 (0) 2021.06.03 [항해99]00사전준비/1주차 (0) 2021.06.03